가이드: 소스트리를 이용하여 내 git 저장소에 코드를 커밋/푸쉬하기

문서봇 2019-01-06

이 가이드는 소스트리를 이용해서 내 Git 저장소에 코드를 커밋(commit) 및 푸쉬(push)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.

참고로 커밋은 내 컴퓨터에 코드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것이고 푸쉬는 그 히스토리를 서버에 업로드하는 기능입니다. 이에 대해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 웹사이트를 읽어 보세요.

무엇보다 소스트리가 내 컴퓨터에 있어야겠죠? 소스트리 설치하는 방법은 이 가이드를 참고해주세요.

  1. 소스트리를 실행한 뒤, 스테이지에 올라가지 않은 파일에 수정한 파일들이 있는지 확인합니다. F5를 눌러서 파일 상태를 새로고쳐야 할 수도 있습니다.

    Step 1

  2. 모두 스테이지에 올리기(Stage All) 버튼을 눌러 모든 파일을 스테이지에 올라간 파일로 옮깁니다. 스테이지에 올라간 파일에 파일들이 있는지 확인합니다.

    모두 스테이지에 올리기 버튼 누르기 전 Step 2

    모두 스테이지에 올리기 버튼 누른 후 Step 3

  3. origin/master에 바뀐 내용 즉시 푸쉬 옆 체크박스에 체크한 후, 이해하기 쉬운 커밋 메시지를 입력한 뒤 커밋(Commit) 버튼을 누릅니다.

    Step 4

img

코테만 파면 제자리 | 시간 낭비 그만 | 실무 알고리즘

코테만 풀면 실력이 안 느는 이유?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죠. 알고리즘, POCU 아카데미에서 제대로 배우고 푸세요.